2024년 미국 증시 고점을 예측하는 10가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제프리 건들락의 미국 주식 시장 전망에 관한 1월 14일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제프리 건들락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미리 예측했던 것으로 유명합니다. 워낙 무게감 있는 이야기를 많이 해주는 분이라,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예측 전망이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주식을 아직까지 하는 것은, 돈을 잃고 싶어서 환장을 했구나?” 이것이 시장을 보는 현재의 뷰입니다.
그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한마디로, 올해 주식 시장은 흔들릴 것이고, 기타 경제 지표를 보면 75% 확률로 경기 침체가 올 것이라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 금리, 실업률 등 대부분의 경제 지표가 매우 좋지 않은 상황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라는 내용인데요.
2024년 미국 증시 고점이라는 이유 10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미국 증시 고점 이유
1) S&P 500 쌍고점
한마디로 이미 미국 증시 주가는 너무 많이 올랐고 2년전 고점을 넘으려는 도전을 하고 있다.
지금 이 상황에서 주가는 힘이 빠지는 모습이 보여지고 있고, 주식을 보유해서 얻는 기대 수익이 위험에 비해서 재미를 보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쌍고점을 찍은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 떨어질 확률이 훨씬 커 보이는 자리이다.
2) 미국의 패권 유지 어려움
이미 미국은 지난 2년전 고점 이후에 실적도 그렇게 좋은 편도 아니고 미국은 더 이상 세계 패권국이 아니다.
한 마디로, 최근의 경제 상황이나 경제 대응 능력 그리고 대외 상황 대응 능력을 봤을 때, 과거의 패권국으로서 기능하기 어렵다.
그러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증시의 상승은 헛된 우려일 뿐이다.
3) M7 기존 고수익 종목 실적 우려
2023년 7월 이후에 M7 마저도 계속 주가가 횡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주가가 횡보하는 추세가 지속되면 어려움을 겪고, 정체되기 시작하면 트렌드 변화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마디로, 더이상 사람들의 주식 관련 실질 수익에 대한 기대치가 많이 내려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달러 추가 약세를 위한 경기 침체
달러가 본격적으로 약세를 보이려면 경기 침체가 있어야 하고, 다음 경기 침체기가 오면 무역 비중이 높은 달러의 화폐 가치는 하락할 것이다.
경기 침체기가 오면 주식 시장의 실질 수익도 낮을 수 밖에 없다.
현재 상황에서는 드라마틱하게 달러가 약세로 가기는 어렵다는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다.
5) 수익률 곡선의 재역전 현상
수익률 곡선 역전 현상은 경기 침체의 징조로 해석된다.
매우 고통스러운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또 시행하는 정책의 결과로 달러는 다음 경기 침체 시기에 큰 위기에 봉착할 것이다.
한마디로, 수익률 곡선 재역전이 된다는 것은 통상적으로 경제 위기 상황에서 연준이 금리를 급격히 인하하는 과정에서 재역전되어 정상화 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하지만 그러면 다시 또 완화적 통화 정책을 펼치게 되면서, 달러 가치에 대한 여러 도전적인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고 해석된다.
6) 2024년은 변동성이 큰 해
연초에는 금리가 하락하고, 경기 침체가 곧 따르고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경기 회복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이 된다.
한마디로, 상당히 고통스러운 경기 침체가 올 것인데, 그 이후에 또 연준의 완화적 정책과 이에 따른 경기 회복 국면을 지금 부터 개인들도 준비하라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7) 경기 침체 가능성은 75% 이상
경기 침체 가능성은 이미 여러 지표에서 75%이상인 것으로 보여주고 있고, 이런 상황에서 주가지수의 더블 탑(2년 전 고점 돌파)을 극복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한마디로, 경제 지표와 상황이 좋지 않은데, 미국 주가만 계속 올라갈 수는 없다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8) 실업률 수직 상승
경기 침체가 시작이 되면, 실업률은 수직 상승하여 급증할 것인데, 일단 해고가 시작이 되면 사람들을 해고해도 문제가 없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한마디로 경기 침체가 나오고 나기 전에는 실업률 지표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실업률을 후행 지표로 나오게 되는 편이다.
9) 인플레이션 추가 우려
다음 경기 침체기가 들어오면 우리는 또다른 인플레이션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인플레이션 상황이 다시 찾아올 것이고, 이는 시장에 많은 불안 요인으로 다가올 것이다.
이 상황이 오면 금리가 급격하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한마디로, 인플레이션이 쉽게 떨어지기는 어렵기 때문에 경제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10) 경기 침체와 부채 문제
다음 경기 침체가 오면, 올해일 가능성이 높고, 그러면 그동안 쌓아놓은 부채 문제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
한마디로, 경기 침체가 오면 다시 완화적 정책으로 가야하는데, 그렇게 가기에는 이미 재정 부담이나 부채 문제가 상당한 수준으로 보여진다.
결론
제프리 건들락의 2024년 미국 증시 고점 10가지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증시 전망을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것은 그 어떤 전문가라도 알 수 없는 것인데요.
그렇다고 하더라도 항상 경기 흐름과 경제 상황에 관심을 갖고 주시해야 합니다.
또한 투자에는 72 법칙이 존재하듯이 너무 단기 투자에만 매몰되지 않고, 장기 투자에 관심을 가지는 습관을 가졌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