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투자 원리에 대해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으시죠? 재테크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에 대해서는 그래도 많이 익숙하실 텐데요. 최근에 채권 투자와 관련된 기사들에 대해서도 많은 언론이나 뉴스 등을 통해 접해보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막상 채권 투자 원리가 어떤 것인지, 채권이란 무엇이고 어떠한 리스크가 있는지 등에 대해 궁금해 하셨을텐데 다음 내용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채권이란 무엇인가?
채권 이라고 하면 어떠한 생각들을 갖고 계신가요? 흔히 말하는 사채, 빚 이러한 개념이 직관적으로 떠오르는 분들도 있으실 텐데요.
채권이란, 기본적으로 돈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표시되어 있는 이해당사자 상호간의 보장 문서, 증서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가장 기본적으로 채권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채권자와 채무자의 2가지 포지션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채권자: 돈을 빌려줘서 돈을 받아낼 권리가 있는 사람 또는 회사
채무자: 돈을 빌렸으므로 돈을 갚아야 할 의무가 있는 사람 또는 회사
최근 태영건설 워크아웃 과 관련한 언론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거기서 나오는 워크아웃이라는 것도 태영건설 채권을 갖고 있는 주채권단에서 자율적으로 태영건설과 협약을 맺는 것이 그러한 개념입니다.
자본주의는 대출과 빚을 통해서 계속 발전하는 형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채권은 자본주의에서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중앙은행을 통해 전체 통화량(화폐)을 조절합니다.
중앙은행은 시중 민간은행에 돈을 빌려주고 경제가 돌아갈 수 있게 유통합니다.
시중은행은 돈을 필요로 하는 회사나 개인에게 대출을 통해 이자를 받게 됩니다.
이렇게 돈이 융통하는 데 있어서 돈을 빌려주고 갚아야하는 증서로 활용하는 것이 채권인 것입니다.
채권은 최초 발행시에 지급해야 하는 상환 금액과 그에 따른 이자, 만기일이 처음부터 확정되어 있습니다.
주식과 다른 점은, 수익이 없어도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이자를 지급해야 합니다.
주식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에 따라 배당을 통해 주주에게 환원하지만, 채권은 기업이 적자가 발생하더라도 확정되어 있는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것입니다.
또한 발행 주체에 따라서 국가에서 발행한 채권은 국채, 회사에서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회사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채권 투자 원리
채권 투자 원리는, 내가 투자한 채권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노림과 동시에, 채권 만기일까지 보유하게 되면 얻을 수 있는 채권 이자 수익 2가지를 노리는 것입니다.
개인 투자자의 경우, 통상적으로는 만기일까지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극히 적기 때문에 채권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노리고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시면 됩니다.
채권 투자 – 금리
채권의 가격과 이자는 정해져 있는데 어떻게 투자 상품이 될 수 있을까요?
그것은 시중 금리에 따라서 채권 가격이 변동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시중 금리는 채권 이자 수익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A 채권을 구입했다고 생각해보자. A채권은 만기일 10년 짜리, 이자 3% 수익률을 주는 상품입니다.
10년간 3%의 이율을 받는데 시중에 융통되는 금리가 5%로 올랐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럼 이 채권을 산 채권자는 10년 동안 배가 아플 것입니다.
내가 조금만 늦게 샀으면 5% 수익률 짜리의 채권을 사서 그만큼 더 많은 수익을 거둘 수 있을텐데 말이죠.
그렇기 때문에 지금 처음 구입한 가격에 A 채권을 판다고 한다면 아무도 사는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원래 A 채권 가격에서 매년 2% (5%-3%) 금리 차이를 빼준다고 한다면 매수자가 등장할 것입니다.
그렇게 해당 금리 차이만큼 채권 가격이 내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시중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의 가치가 내려가고, 시중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는 역의 관계가 발생하게 됩니다.
미국 금리 인하 추세에 맞춰서, 미국 채권 투자에 대한 관심을 갖는다면 좋은 결과가 기대됩니다.
마치며
최근 미국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기 위해 가파르게 미국 금리를 인상해 왔는데요. 그에 따라 채권 가격도 엄청나게 하락하였고, 전세계도 그에 따라 동조하였습니다.
하지만 2024년에는 IMF와 같은 경제 위기가 오지 않도록, 선제적인 금리 인하 추세가 예상되는 바, 그에 따른 채권 투자 원리를 이해하고 투자 시장에 임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